습관1. 장소 : 책상=일과 공부만 하는 곳 습관2. 시간 : 시간 쪼개기, 작업모드, 휴식모드 습관3. 식사 : 혈당치 안정화. 규칙적 세번 식사. (금지 : 설탕, 탄산, 면류) 습관4. 자세 : 허리 펴기, 턱 당기기. (금지 : 장시간 앉아 있기) 습관5. 수면 : 렘수면, 논렘수면 4~5회 교차. 6~7시간 필요
집중력 향상 4가지 루틴
1. 청각 - 주위의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 눈을 감고 주변에서 소리 3가지를 찾기 2. 시각 - 시선을 하나의 점에 집중 : 시선을 한 점으로 모으기 3. 촉각 - 손가락으로 동전을 세운다 : 동전을 세우기 4. 후각 - 감귤 향기를 맡는다 : (레몬, 오렌지, 감귤) 향기는 집중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
집중력 향상 방법 12가지
. 다양한 정보 차단하기 : 다른 일을 하지 않기 1. TV, 인터넷 끄기 2. 책상 정리하기 3. 자연의 소리 듣기 4. 너무 오래 집중하지 않기 (45분 집중 15분 휴식) 5. (명상) 눈감고 호흡 느끼기
. 수행할 작업에 주목하지 못하고 있다 : 집중력을 높이기 6. 흥미는 집중의 에너지원천. 단순화 쉬운것부터 7. 달성 가능한 작은 목표를 설정하기 8. 목소리를 내서 설명해 보기 9. 위기감을 갖도록 연출해 보기 10. 라이벌 의식을 이용해 보기 11. 껌을 씹어 보기 12. 산만한 원인 적기
Ctrl+E : Recent File 최근 파일 Ctrl+Tab : Switcher 화면 전환 Alt+F1 : Select In 다른프로그램에서 열기 Alt+Home : Navigation Bar 탐색바 Alt+상하 : 함수 단위 커서 이동 Ctrl+{} : 함수 안에서 상단, 하단 커서 이동 하단 [숫자]:[숫자] or Ctrl+G : 특정 라인 이동
. 클래스, 함수, 변수 찾고 이동
Structure 탭 : View > Tool Windows c:class, v:variables, f:function Navigate - Back : 이전 커서 위치 Navigate - Forward : 이전 위치 이후 원래 위치 Ctrl+Alt+Left, Ctrl+Alt+Right : 이동
. 전역 찾기
Shift 2회 : Search Everywhere 최근에 열었던 파일 목록 Class, Files, Symbols, Actions include non-project items : 현재 프로젝트 외 PC 전체 내용 검색
. 에디터 창 분할하기 Split Vertically Split Horizontally
. . 입력 : 가능한 함수 목록 확인하기 . .함수명 입력 : 함수의 입력 변수 확인하기 . Ctrl+Q : Quick Documentation . Ctrl+Shift+I : Quick Definition
. 앞 문자 선택 Shift + <- . 뒷 문자 선택 Shift + -> . 앞 단어 선택 Shift + Ctrl + <- . 뒤 단어 선택 Shift + Ctrl + -> . 확장하면서 선택 Ctrl+W . 축소하면서 선택 Shift+Ctrl+W . 맨 앞까지 선택 : Shift + Home . 맨 뒤까지 선택 : Shift + End . 코드 이동 : Shift + (Ctrl/Alt) + 위/아래
. 모듈 불러오기 Ctrl+Space 2회 : 입력 가능한 목록 Ctrl+Alt+O : import 구문 자동 정리
. 튜토리얼 쉽게 보기 File > Settings > Tools > Python External Documentation + 모듈명, 튜토리얼 주소 입력 matplotlib : https://matplotlib.org/api/_as_gen/{module.name}.{element.name}.html#{module.name}.{element.name} Pandas : https://pandas.pydata.org/pandas-docs/stable/reference/api/{element.qname}.html#{element.qname} tensorflow : https://www.tensorflow.org/api_docs/python/tf/{element.name} seaborn : https://seaborn.pydata.org/generated/{module.name}.{element.name}.html#{module.name}.{element.name} sklearn : https://scikit-learn.org/stable/modules/generated/{element.qname}.html#{element.qname}
. 오류 메시지 구글 검색하기 외부 도구 External Tools 오류 메시지 구글링 Tools > External Tools > + Google Search Program : 브라우저 실행 파일 : C:\Program Files (x86)\Google\Chrome\Application\chrome.exe Arguments : www.google.com/search?q="$ClipboardContent$" Working Directory : C:\Program Files (x86)\Google\Chrome\Application
. 매크로 만들어 사용하기 Edit > Macros > Start Macro Recording Ctrl+C > Tools > External Tools > Google Search > Stop name : google_search_macro 매크로 단축키 File > Settings > Keymap > google_search_macro > add keyboard shortcut > Alt+G
. 반복되는 코드는 1. 코드 템플릿으로 : Settings > Editor > File and Code Templates > Python Script # coding = UTF-8 if __name__ == "__main__":
2. 모듈 import 같은 폴더에 있으면 : import <module> 다른 폴더에 있으면 : sys.path.append("c:\xxx\module") 경로 추가후 import <module> sys.apth : 파이썬 모듈이 저장되어 있는 경로
. 라이브 템플릿으로 프로세스 단위 자동화하기 File > Settings > Editor > Live Templates
Dict comprehension : compd {$KEY_EXPR$: $VAL_EXPR$ for $VAR$ in $ITERABLE$} Dict comprehension with 'if' : compdi {$KEY_EXPR$: $VAL_EXPR$ for $VAR$ in $ITERABLE$ if $VAR_EXPR_IF$} Generator comprehension : compg ($VAR_EXPR$ for $VAR$ in $ITERABLE$) Generator comprehension with 'if' : compgi ($VAR_EXPR$ for $VAR$ in $ITERABLE$ if $VAR_EXPR_IF$) List comprehension : compl [$VAR_EXPR$ for $VAR$ in $ITERABLE$] List comprehension with 'if' : compli [$VAR_EXPR$ for $VAR$ in $ITERABLE$ if $VAR_EXPR_IF$] Set comprehension : comps {$VAR_EXPR$ for $VAR$ in $ITERABLE$} Set comprehension with 'if' : compsi {$VAR_EXPR$ for $VAR$ in $ITERABLE$ if $VAR_EXPR_IF$} Iterate (for ... in ...) : iter for $VAR$ in $ITERABLE$: $END$ Iterate (for ... in enumerate) : itere for $INDEX$, $VAR$ in enumerate($ITERABLE$): $END$ if __name__ == '__main__' : main if __name__ == '__main__': $END$ Property getter : prop @property def $NAME$(self): return $END$ Property getter/setter : props @property def $NAME$(self): return $END$ @$NAME$.setter def $NAME$(self, value): pass Property getter/setter/deleter : propsd @property def $NAME$(self): return $END$ @$NAME$.setter def $NAME$(self, value): pass @$NAME$.deleter def $NAME$(self): pass super(...)' call : super super($class$, self).$method$($end$)
main -> if __name__ == '__main__': iter -> for in : itere -> for i, in enumerate():
+약어 Abbreviation : craw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as bs url = "$URL$" result = requests.get(url) soup = bs(result.text, "html.parser") tags = soup.find_all("$TAGS$") $END$
. 디버깅 브레이크 포인트 디버그 창 / 에러 메시지 단계별 디버깅 : Show Execution Point, Step Over, Step Into, Step Into My Code, Step Out, Run to Cursor, Evaluate Expression 디버그 콘솔
. 파이참 단축키 : Help > Keymap Reference . 특정 작업 찾아보기 : Help > Find Action . 단축키 변경하기 : File > Settings > Keymap > plugin . Key Promoter X : 마우스로 한 일이 단축키가 있다면 우측에 팝업으로 단축키를 알려줌 . File > Settings > Keymap > Python Console : Ctrl+1 . File > Settings > Keymap > Run File in Python Console : Ctrl+2 . 콘솔창에서 에디터창으로 이동 : ESC . 에디터창 코드 콘솔창 실행 : Shift+Alt+E
. 코드 자동 완성하기 Tab : im -> import . 주석 만들기 Ctrl+/ : #
. 파이참에서 Sqlite3 DB 다루기 File > Settings > Plugins > Database Navigator New Scratch File > SQLITE-SQL DB Browser > + 버튼 DB 연결 Database files > sqlite.db : main main.[table name]을 이용하여 SQL문 실행 가능
. Material Theme UI : 다양한 아이콘과 색깔 테마 구성 . CSV Plugin : 테이블 형태로 CSV 파일 조회, 수정 . Nyan Progress Bar : 프로그레스바에 다른 UI 입히는 기능 (Nyan 고양이, Duck 오리, Hadouken 스트리트파이터 류/캔) . Grep Console : 키워드가 나올 때 색깔 표시, 정규식으로 찾기 : 콘솔창 우클릭 Grep Expression : .*문자.* (Regex) . String Manipulation : 대소문자 변경, 정렬, 필터, 중복 삭제 등 . Rainbow Brackets : 함수/수식 괄호 색표시
SPOTLIGHT S1. AI is everywhere - 김영욱 S2. 마이크로소프트 Openness, 그 방향성과 철학에 대해 - 이윤정 S3. 오픈소스 AI 개발 도구가 애저 클라우드와 만났을 때 - 최영락 S4. 애저에서 머신러닝을 한다는 것 - 한석진 S5. 인텔리전트 ‘엣지와 클라우드’의 궁극적 지향점 - 이건복 S6. 오피스 안으로 들어온 AI - 박은정 S7. ‘AI for Good’ 세상을 바꾸는 AI에 윤리를 더하다 - 김평화 S8. 누구나 AI 전문가로! -이주연 S9. 양자 컴퓨팅 활용의 지름길 ‘애저 퀀텀’ - 최용석 S10. “인공지능 기술 보편화에 기여하겠다” 알고리즘랩스 -이윤정 OPINIONS O1. TDD가 실패하는 여섯 가지 이유 - 김형석 O2. 클라우드 시대 ‘서버리스’ 쿠버네티스가 대안 K네이티브를 활용한 서버리스 대응 전략 - 장민 FUTURE F1. 한 달에 하루만 출근하는 회사 재택근무 솔루션 기업이 재택근무로 살아남기 - 김택중 F2. ‘알렉사 음성 서비스’ 세계 최초 타이틀 거머쥐다 - 신민영 TRANSFORM T1. 해커와 셰프 -김도균 T2. 꼬꼬마에서 글로벌 커뮤니티 리더로 성장하기 - 김석 T3. 엔지니어로서의 성장을 이끌어 준 세 가지 터닝 포인트 - 강진우 T4. 한국 개발자, 캐나다에서 일하기 - 심경섭 T5. 칠전팔기 '데일리 체크인’ - 유성실 T6. 경영학을 전공한 데브옵스 엔지니어의 개발자 도전기 - 이권수 T7. 글 잘쓰고 싶은 ‘글알못’ 개발자의 고군분투기 - 이주원 T8. 주니어 개발자 스터디에서 살아남기 - 노성현, 김민수, 김형진, 문겸 T9. 회색인, 개발인 듯 개발아닌 개발 같은 너 - 송진영 T10.인프라 엔지니어에게 개발이란 어떤 의미일까 ‘코드로 이뤄지는 인프라의 세계’ - 조훈 WORTH W1. 코로나 바이러스로 생각해보는 시스템 아키텍처, 원격 근무 환경, 오픈소스 - 공윤진 W2. 코더와 개발자 나노프로를 만들면서 - 엄상호 W3. 코로나19종합상황지도 제작기 “개인도 기관도 마음으로 나섰다. 진정한 협업에 힘 복돋워” - 김인현, 한동훈 ALONG WITH A1. 개발자와 디자이너·기획자가 함께 일하는 방법 - 송인혁 A2. 개발자들의 놀이터 ‘전자상거래 플랫폼 생태계' 향해 나아가는 카페24 개발자센터 - 백재현, 최정민 A3. 해피톡, 성장 그 이후 ‘OKR’ - 이윤정 A4. 오픈소스 프로젝트 커뮤니티 발전을 위한 7가지 질문 - 데이브 니어리 RECRUIT R1 앱닥터, 개발자 빌려쓰는 시대 - 이윤정 R2. “핀테크 분야는 개발의 꽃" 어니스트펀드에서 펼쳐보세요 - 이윤정 R3. ‘디지털 데이터 클라우드 네이티브' 세상 이끈다 “Why not”기술 근성...메가존 개발 네이티브(원주민)를 만나다 - 이윤정 R4. “쿠팡은 Tech-driven 회사” - 최용석 EVENTS E1. 경품을 드립니다 E2. 400호 축하합니다 E3. 실용성 좋은 미니PC와 라이언·어치피가 만났다 - 최용석 E4. 개발자를 위한 추천도서 - 한빛미디어
SCHEMA S1. 자동화는 모두가 누려야 할 복지 – 이기곤 S2. 마케팅 자동화로 사람의 시간을 확보하라 – 김효은 OPINIONS O1. 자동화가 비껴간 기회 – 김도균 O2. 환상을 버리면 비로소 보이는 변화 속 중심 – 송진영 FUTURE F1. 코딩하는 공익이 마주한 업무 자동화와 농업 자동화 – 반병현 F2. 학교생활 속 불편함 줄이기 – 김무훈 F3.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개발자 해방시키기 – 중년코딩 F4. 새로 올라온 전월세 목록을 알려주는 팅커벨 – 안희종 F5. 작은 카페의 효율적인 월정액 멤버십을 향한 여정 – 이민혁 TECHNOLOGY T1. 쿠베플로우로 시작하는 하이퍼옵트 자동화 – 이명환 T2. 효과적인 트래픽 대응을 위한 이벤트 기반 오토스케일링 – 강진우 T3. 네트워크 관리에 자동화를 불어넣는 앤서블 – 조훈 T4. CDM 분석 서비스의 데이터 파이프라인, 가이아 – 전가빈, 류대협 T5.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 개발 – 윤건영 T6. 24시간 주식 자동 투자 시스템 – 장용준 WORKS W1. 우리의 근무시간을 정산하는 워크로그 – 송요창 W2. 글또의 자동화 요정, 지니 프로젝트 – 정민정 W3. 스프레드시트 변경 정보에 괴롭힘당하던 팀원을 구출하라 – 최동철 W4. 레드마인 일감을 주간업무보고로 한달음에 보내자 – 김환희 W5. 애저 데브옵스에서 한 번 놀아보자 – 박영진, 배준현 ALERT A1. 망설이지 않고 취약점 뽀개기 – 공재웅 A2.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데브섹옵스 – 송창안 A3. 서킷브레이커를 통한 외부 API 장애 대응 – 이현재 RPA R1. RPA라는 기술을 알고 계시나요 – 이재화 R2. QA 기능 테스트 RPA 서비스, HBsmith – 한종원, 김세연 R3. RPA는 무엇이고, 어떻게 쓸까 – 이봉선 R4. RPA 새내기 극복을 향한 나만의 가상 비서, 마이 어시스턴트 – 김영은, 이재준, 황은지 R5. 성범죄 알림e를 활용한 안전지도 만들기 – 서윤주, 이대주 R6. RPA는 문화를 바꾸고 만드는 기술이다 – 정욱아, 김강정 R7. RPA와 함께 지능형 디지털 워크포스로 가자 – 오토메이션애니웨어 코리아 EPILOGUE E1. 자동화, 그 너머 생각할 일 – 유진호
SCHEMA S1. 스스로를 훈련하는 방법 – 김도균 S2. 시니어들이여, 주니어와 함께 가자 – 최성훈 OPNIONS O1. 러닝커브가 없는 그날까지 – 김선종 O2. 새로움에 대한 경험과 도전 – 김인범 O3. 토이 프로젝트로 사내 기술 장벽 허물기 – 홍장유 FUTURE F1. 토스트 루키의 베이스캠프 – 한정 F2. 상륙을 넘어 전진 – 이소영 F3. 뻔뻔한 신입사원의 뻔뻔한 적응기 – 김학건 F4. 어쩌다 보니 개발자, 행복을 위한 사소한 성장 가이드 – 정희재 F5. 오픈소스와 함께 성장하기 – 장선혁 F6. 출발은 늦었지만, 꾸준히 가다보면?! – 이하경 TRANSFORM T1. 커리어 전직은 새로운 시작 – 신예진 T2. 꿈과 책과 힘과 벽 – 고명진 T3. 디자인 빼고 다 하는 디자이너 – 류영훈 T4. 불완전함을 완전함으로 바꾸는 법 – 박상욱 WORTH W1. 학습 주체와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코드스쿼드 – 김정, 이동규, 정휘준 W2. 공부하는 개발자를 위해 – 조은옥 W3. 더불어 성장하기 위한 알서포트의 고민타파 – 이주명 W4.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드는 교육, 설리번 프로젝트 – 배주웅 W5. 지속할 수 있는 성장을 위해 데잇걸즈 – 이은지 APPLIED A1. 신입 개발자와 함께 일하는 방법 – 이기곤 A2. 이직 주도 학습으로 한 단계 도약하기 – 김준호 A3. Proto UI: 제품 개발 프로세스 UI 라이브러리 – 이승민 RESEARCH R1. 멀지만 가까운 알고리즘 학습 세계 – 남현욱 R2. 개발자가 수학과 맞짱뜨는 방법 – 윤성국 R3. 플러터 경착륙기 – 김민상 R4. 떨어진 자신감엔 오픈소스가 활성 비타민 – 김종헌 R5. 내가 만드는 정보의 시작, 디지털 스크래핑 – 이상혁 EQUALITY E1. 커뮤니티를 통해 성장하다 – 이현재 E2. 스터디에서 세미나까지, 세미나에서 발표까지 – 노성현, 김형진 E3. 모두가 친구인 콘퍼런스 – 조성수
SCHEMA S1. 문서화, 왜 중요한가 – 강희석, 유희권 S2. 나와 밥벌이와 기술 그리고 유니볼 볼펜 – 이종국 OPINIONS O1. 개발자 문서와 PMF – 반병현 O2. 개발자의 새로운 도전, 관점 바꾸기 – 김도균 O3. 문송한 국문과의 보안회사 입문기 – 권해인 FUTURE F1. 개발자 이직 포트폴리오 – 이동욱 F2. 1일 1블로그 포스팅으로 얻은 것 – 신민욱 F3. 그 많던 잔디는 누가 다 심었을까 – 맹윤호 F4. 개발자 글쓰기 모임, 글또 – 변성윤 F5. 개발자스럽다 – 김태균 TECHNICAL WRITER T1. LINE에서 테크니컬 라이터가 하는 일 – 이인실 T2. 문서 엔지니어링과 API 문서화 – 전정은 T3. 영어로 커밋 메시지 쓰기, 어렵지 않아요 – 수J T4. UI 텍스트와 오류 메시지 작성법 – 유영경 WORKS W1. 기록을 공유하는 문화 만들기 – 인용휘 W2. 파이콘 한국을 기록하는 방법 – 파이콘 한국 준비위원회 W3. 마이너한 소프트웨어 한국어화 – 윤성수 W4. 기술서 번역 생산성 노하우 – 유동환 W5. IT 도서 기획편집자가 말하는 집필과 번역 과정 – 최현우, 이중민 APPLIED A1. 버전을 관리하자, 버저닝의 의미 – 이기곤 A2. 매너가 흐르는 버그리포팅 – 윤건영 A3. 참여의 관문, 리드미 – 노성현, 김민수, 송호훈, 최경운, 김종인 A4. Koa 프로젝트로 알아보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 이준범, 김성재, 김주형, 김준희 A5. 군 SW개발 단계별 협의체계와 산출물 – 정해주 RESEARCH R1. 논문 쓰기의 이해 – 바쁜 벌꿀 R2. 레이텍으로 익히는 생산, 협업, 공유 프레임워크 – 홍원의 R3. 마크다운과 레이텍을 이용한 기술 블로그 플랫폼, 클레브 – 나윤환 R4. 한 장도 주문할 수 있는 스티커 생산 시스템, 웹 투 프로덕트 – 신우진 EDITOR E1. 이엠텍, ‘레드빗’ 브랜드로 커스텀 수랭 서버 전문기업으로 변신 – 최용석 IT조선 기자 E2. 개기자의 개터뷰를 마치며 – 오세용 기자
SCHEMA S1. 데이터 사이언스, 타이디버스로 향하다 – 이광춘 S2. 데이터 분석가는 어떤 스킬셋을 가져야 하는가 – 서희 OPINIONS O1. 일상을 기만하는 데이터와 거리 두기 – 김도균 O2. 금융업계에 부는 데이터 사이언스 바람 – 권용진 O3. 데이터 기반 의료를 향해 – 박찬익 O4. 데이터는 스포츠를 어떻게 바꿨는가 – 김인범 O5. 연습용 데이터 세트를 찾아라 – 오세용 기자 FUTURE F1. 인문학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다 – 유예진 F2. 데이터 분석가로서 첫 발을 내딛으며 – 김나현, 오희령 F3. 홍콩에서 보내는 편지: 놀고먹던 사람이 연구자로 살기까지 – 홍원의 TECHNOLOGY T1. 데이터로 본 검색 서비스 – 윤창호, 조창래 T2. 엘라스틱 스택 기반 데이터 분석 – 조인석 T3. 데이터 엔지니어를 위한 아파치 임팔라 안내서 – 임상배 T4. AI 네트워크에서 개인 정보 보호와 보안 – 김민현 T5. 이미지 데이터 분석의 특징 시각화와 스타일 전이 – 김영민 WORKS W1. 메르스맵을 되돌아보며 – 박순영 W2. 2018 빅콘테스트를 마치고 – 이은조, 장윤제 W3. 굿닥의 데이터 플랫폼 도입기 – 김택규 W4. 케라스팀이 들려주는 협업 그리고 머신러닝 이야기 – 조아라, 케라스팀 W5. 핵심 비즈니스를 혁신하는 데이터팀 이야기 – 김상우 APPLIED A1. 파이썬으로 계좌 거래 목록 수집하기 – 이태화 A2. 파이썬으로 특정 키워드 사업 공고 알림 받기 – 심경섭 A3. 클라우드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실시간 검색어 분석하기 – 변규현 A4. Kepler.gl을 이용한 2017년 서울 내 인구이동 시각화 – 이영민 A5. 캐글 데이터를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로 톺아보기 – 김영하 A6. 데이터 시각화의 올바른 차트 유형 고르기 – 배준오 RESEARCH R1. 회귀 모형을 통한 프로모션 효과 분석, promotionImpact – 안태희, 엄혜민 R2. 자연어 처리와 언어 모델 – 최현영 R3. 게임 로그를 활용한 봇 분류 모델 – 강병수, 서상덕, 안진옥 R4. 반복 크롤링 작업 시 크론탭은 이제 그만, 아파치 에어플로우로 가자 – 배준현, 김도형 ETC E1. 가치를 만드는 머신러닝 – 마이클 후스, 임현민 E2. 당신의 드라이빙 데이터는 얼마입니까 – 심상규, 아모랩스 E3. 데이터와 인문학 – 오세용 기자
SCHEMA S1. 개발운영 퀀텀 점프를 위한 도커 - 박주형 S2. IT 서비스와 모니터링의 역사 - 이동인, 공영삼 OPENSTACK O1. 사설 클라우드의 끝판 왕, 오픈스택 - 장태희 O2. 클라우드 커뮤니티 회원에서 대표까지, 오픈스택 커뮤니티 동고동락 - 최영락 FUTURE F1. 데브옵스를 꿈꾸는 개발자를 위한 안내서 - 양지욱 F2. 더 웨더 컴퍼니의 데브옵스 - 조지훈 F3. 코드로 관리하는 인프라스트럭처, 테라폼 - 송주영 TECHNOLOGY T1. 다시 보는 PaaS,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 김정민 T2.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TLS 1.3 - 강성일 T3. 데이터베이스의 게임 체인저, 오라클 자율운영 클라우드 - 정현아 T4. 클라우드 시대에도 호스팅 수요가 여전한 이유 - 노재명, 이재욱 T5. 클라우드의 성능 품질 이야기 - 손영수 T6. 이런 책이 있었어? - 이정빈 WORKS W1. AWS의 완전 관리형 이메일 서비스, WorkMail과 SES - 유광식 W2. 스타트업의 좌충우돌 CI/CD 구성 - 박상후, 김태현, 김의연 W3. AWS EC2와 트래비스 CI를 활용한 무중단 배포 서비스 - 이동욱 W4.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와 AWS 람다로 구성하는 다운로드 서버 - 허진수 APPLIED A1. 제대로 구성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유민정 A2. 이스티오 서비스 메시를 이용한 MSA 구축 - 김충섭 A3. DDD와 MSA로 쇼핑몰 구축하기 - 임근원, 박해성, 김준희, 채병훈, 김주형, 이준범 A4. 클릭만으로 도커 개발 환경을 완성시켜주는 애저 PaaS - 이진석 RESEARCH R1. 되돌아 보는 1만 개의 클라이언트 문제 - 이기곤 R2. 모바일 앱 테스트 자동화용 디바이스팜 구축 - 황희선 R3. 스토리체인이 사이드체인을 선택하기까지 - 경호연 R4. 플라스크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 김성현 R5. RxJava로 생각하기 - 유동환 ENTERPRISE E1. 연결하라. 문이 열릴 것이다. 리드 호프만 vs 태종무열왕 김춘추 - 고평석 E2. 레드햇 오픈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김현수
Schema S1. 약인공지능의 발전과 딥러닝 알고리듬 – 박주형 S2. 딥마인드의 미션, 모든 것에 대한 이론 – 송호연 Opinions O1. 부풀려진 기술, 인공지능에 관한 소고 – 김도균 O2. 인공지능과 법률분야 그리고 법률 전문가 시스템의 통섭 – 양종모 Future F1. 라이언봇의 탄생과 성장 – 강병욱 F2. 알파고 제로의 알고리듬, 알파 제로 – 팀 휠러(번역 김광연) F3. 자율주행의 세계에 뛰어들자 – 송영기 F4. 썸남썸녀 성공 확률을 예측하자 – 이준범 Technology T1. 대용량 상품 카테고리 자동 분류 시스템 개발기 – 남상협, 조현재 T2. 머신러닝 개발자에게 문제 해결 능력을 묻는다 – 허민석 T3. 쉽게 쓰이는 GAN – 조용래 T4. 이미지를 문장으로 설명해주는 딥러닝 모델 – 다니엘 라시먼(번역 한영빈) T5. 왓슨어게 한국어를 가르치다.(IBM 김대용 과장) – 오세용 기자 Words W1. 글루온으로 구현해보는 한영기계번역 모형 – 전희원 W2. 구글의 자연어 처리 기술 – 이영민 W3. 인공지능의 목소리, 음성 합성과 음성 변조 – 배준현 Applied A1. 스포츠 속 AI, 빅데이터 넘어 인공지능 시대로 – 김인범 A2. 머신러닝의 입술에 건배를 – 이종국 A3. 한의계의 인공지능 기술 현황 – 정원모 A4. 불리오 개발기를 통해 본 로보어드바이저의 간략한 역사 – 천영록 A5. CNTK를 이용한 딥러닝 입문 – 제이슨 김 A6. 한국 문화와 한글을 이해하는 인공지능, 왓슨 – 조현정 A7. 머신러닝 피드백을 이용한 게임 지표 분석 – 구상은 Research R1. 인공지능 채색공부 시키기 – 강성민 R2. 가짜뉴스 찾기 – 변형진, Deepest팀 R3. 소리 속 잡음을 지워보자 RNNoise – 진 마크 발린(번역 윤성수) R4. 당신의 인공신경망은 안전하십니까? – 김창훈, 윤성국 Enterprise E1. Do You Know GW-Basic? – 서광민 E2. 고려 광종과 리드 헤이스팅스, 시작이 허름해도 꿈이 확실하다면! – 고평석
Schema S1. 오픈소스는 어떻게 대세가 됐는가? - 송범근 S2.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탄생 - 조영준 Opinion O1. 일상에서 오픈소스 현상을 바라보는 3가지 시선 - 김도균 Future F1. 가볍게 읽어보는 블록체인 이야기 - 오명운 F2. 이더리움 시작하기 - 제이슨 김 F3. 블록체인의 미래를 방해하는 적 - 김호광 Technology T1. 이길 수 없다면 같은 편에 서라 - 최주열 T2. 오픈소스에 대한 IBM의생각과 방향 - 정창우 T3. 오픈소스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끈 AWS - 윤석찬 T4. 우아한형제들이 오픈소스를 바라보는 관점, WoowahanJS - 김민태 T5. 멋진 신세계, 컨테이너 - 이민구 T6. 오픈소스 서버리스 플랫폼, 오픈위스크 - 공진기 T7. 아마존 ECS를 위한 새로운 오픈소스 스케줄러, Blox - 김상필 T8.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방향, MS Azure Stack - 백승주 Working W1. 오픈소스 공헌이 개발자에게 미치는 영향 - 임정택 W2. 오픈소스 백신이 가지는 의미 - 최원혁 W3. 모바일 앱 테스트 자동화를 위한 애피움 활용 - 황희선 W4. 모바일 데이터베이스의 강자, Realm - 박민우 W5. 개발자는 왜 오픈소스를 알아야 하는가 - 박현정 W6. 서울JS의 시작 - 문현경, 김양원, 이웅재 W7. 데이터 과학의 놀이터, 오픈데이터 캐글 - 이상열 Applied A1. 오토모티브와 오픈소스가 만나면 - 한동준 A2. 오픈소스로 드론을 날려보자 - 차주경 Research R1. 공공데이터포털 분석 - 김학래 R2. 이미지 인식 기반 쇼핑 앱 '샷핑'과 Faster R-CNN - 남상협 R3. 자바를 튼튼히 하는 FindBugs 커스텀 결합 탐지기 - 우영식 R4. 상용 RDBMS와 오픈소스 DB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선정 - 권순용 Enterprise E1. 오픈소스의 리스크를 관리하는 블랙덕 허브 - 김병선, 전재웅 E2. 당 태종과 지미 웨일스는 개방성으로 성공을 거뒀다. - 고평석 E3. 개발자의 시작은 협업과 커뮤니케이션- 이단비, 한민호, 김형종, 나영균 E4. 우아한 테크캠프의 지향점 - 김정 E5. 오픈핵에서 시작하는 오픈소스의 꿈 - 조병승
S1. 보안 공백을 노리는 APT 공격, 융합보안으로 맞서자. -남기효 S2. 바이러스 이동 경로와 공격 유형 -조영락 S3. 세계의 사이버전 그리고 한국은 -정해주 O1. 랜섬웨어 인질이 안되려면 -김도균 O2. 생체인증기술의 보안 위험성 -전정훈 O3. DB전문가를 꿈꾸는 당신에게 -권순용 O4. HTTPS가 HTTP보다 빠르다 -ssut F1. 범죄예측 시스템의 현실적 해석과 도전 -양종모 F2. 게임 속 불법행위 봇(Bot) 추적의 과거, 현재, 미래(이은조 팀장) -조병승 기자 T1. 클라우드 보안을 정복하는 기술 -박형준 T2. 신뢰에 기초한 클라우드, MS Azure -노종혁 T3. AWS DevOps의 보안 최적화, DevSecOps -임기성 T4.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탄생 -정윤선 T5.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 취득 프로젝트 -노규남, 정대원 W1. 열려라 참깨가 양자 암호를 넘기까지 -이주희 A1. 개인과 조직 모두를 지키는 윈도10 보안 -백승주 A2. 오픈소스 기반 LDAP, FreeIPA 설치하기 -김석 A3. MS17-010 취약점 모의 침투 하기 -공재웅, 김주영 A4. 컴퓨터 + 네트워크 보안 = 사물인터넷 보안 -서영진 R1. 랜섬웨어 지피지기 -김해광 R2. HWP 취약점 CVE-2013-0808 분석 -박지웅, 김현 R3. SNSLocker.exe 분석 보고서 -강형민 R4. 컴파일은 거들 뿐, 정적 분석으로 시큐어코딩을 완성하라 -제이슨 김 R5. 온라인 신용카드 결제, 팩트 체크 -장지윤 R6. 대용량 데이터, 성능을 끌어올려라. -윤경빈, 고종호, 심현승 E1. 명 영락제와 피터 틸 -고평석 E2. 지능형 영상 보안 시스템, 클라우드 캠 -금상호 E3. 지능형 보안 플랫폼의 집약체, KT Wiz Stick -조병승 기자 E4. 환경과 약자 안전 IT로 지킨다 -김형준 E5. 코딩은 창의적인 글짓기다 -조병승 기자 MASOLAB. 형태소 분석기 MeCab에 한글 코드 지원하기 -장원준
Schema S1. 인공지능시대의 집단지성과 지식 검색 서비스의 고찰 - 윤효근 S2. 말하지 않아도 맞춰보자 - 정승웅 Opinion O1. 개발자의 포트폴리오 인생 - 김도균 O2. 기계는 생각할 수 있는가 - 이범석 O3. DB전문가를 꿈꾸는 당신에게 - 권순용 O4.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워라 - 김소연 Future F1. 말뭉치를 털어라 - 오재혁 F2. 자녀 세대 문자 언어, ㅇㄱㄹㅇ 실화냐? - 간백, 권오현, 김준순, 김채은 F3. 포켓몬고의 지도와 오픈스트리트맵에 대한 잡다한 이야기 - 신상희 Technology T1. 엘라스틱서치를 넘어 엘라스틱 스택으로 - 김종민 T2. 잡플래닛의 채용 검색 개인화 - 전호상 T3. 홈쇼핑모아의 엘라스틱서치 최적화 - 이승학 T4. 실시간 한국어 이슈 감지 시스템 - 김현강 T5. Elastic Stack을 이용한 NetFlow 분석 - 조인중 T6. 문서 본문 검색 랩소디 - 최종신 Words W1. 위키데이터, 컴퓨터에 지식의 근원을 제공한다 - 김정민 W2. 파이썬을 이용한 위키피디아 탐험 프로그램 - 이만재 W3. 챗봇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 김성동 W4. 챗봇의 이론과 응용사례 - 박우명, 고석현 W5. 마이크로소프트 챗봇과 한글 지원 서비스 - 김영욱 Applied A1. Xamarin.Forms로 만든 올비 크로스 플랫폼 앱 - 이명현 A2. 리모트콜 페이스'와 영상인증의 미래 - 이주명 A3. MySQL과 마리아DB의 발전 - 권건우, 이근오, 김숙진, 이대덕 Research R1. 실외 군집 드론 비행의 영역확장 - 문성태 R2. 비식별 개인 정보 생성 및 거래 현장 적용 실증 연구 - 김정선 R3. C/C++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 김화수 Enterprise E1. 주원장과 스티브 잡스 4가지 닮은 꼴 - 고평석 E2. 구글 빅쿼리 - 조병욱 E3. 김광현 네이버 서치 리더 "검색이 필요없는 검색 시대를 준비한다" - 류현정 E4. 네이버 서치팀 추천 논문 - 류현정 E5. 에어스(AiRS)의 작동 원리는? - 김범수 E6. 코딩은 창의적인 글짓기다. 넥슨 유스 프로그래밍 챌린지(NYPC) - 조병승
Schema S1. 이제는 모든 기업이 인공지능 기업이다 - 김진형 S2. 뫼비우스의 띠, 인공지능 그리고 사람 - 이재포 S3. 21세기의 골드러쉬 인공지능 이야기 - 김영욱 S4. 개발자와 머신러닝, 무엇을 할 것인가 - 임백준 S5. 개발자는 감투가 아니다 - 허광남 Opinion O1. 인공지능 개발자의 사회적 감수성 - 김현철 O2. 위기의 호모 사피엔스 - 이범석 O3. 청태종과 빌게이츠의 네 가지 공통점 - 고평석 Future F1. SK텔레콤 '누구'로 알아보는 API의 방식과 음성인식 인공지능의 미래 - 김영준 Technology T1. 아마존 에코, IoT 버튼으로 원격지 전등 제어하기 - 이경수 T2. 당장 쓸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인공지능 기술들 - 김영욱 T3. 머신러닝, 딥러닝 그리고 매트랩 - 김종남 Words W1. 자연어 처리 기술과 우리말 - 이상구 W2. 의료정보학의 텍스트 마이닝에 대하여 - 한충현 W3. 아프리카TV의 word2vec 활용 사례 - 최규민 W4. 기계학습을 이용한 텍스트 감정 분석 - 유재명 W5. 오픈소스 R과 KoNLP - 전희원 Applied A1. 무한의 탑에서 펼쳐지는 AI와 게이머의 한판 승부, 이경종 엔씨소프트 팀장 - 조병승 A2. 스타크래프트 인공지능 경진대회 - 김경준 외 A3. 인공지능 국방분야 적용 방안 - 정해주 A4. 기계학습 성문분석으로 보이스피싱 예방 연구 - 전옥엽 외 Research R1. 인공신경망에게 월광 소나타 가르치기 - 홍정모 외 R2. 추론하는 딥러닝 모델 - 남상협 외 Enterprise E1. 작은 데이터로 큰 가치를 만드는 소물인터넷 - 송태민 E2. I-C-B-M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비즈니스 - 반승환 E3. 인공지능의 시대, 컴퓨팅의 진화 - 나승주 E4. 국내외 오픈 데이터 동향과 시사점 - 김선호 E5. 주요 RDBMS의 트랜잭션 처리 아키텍처 - 권건우 E6. 모두를 위한, 모두의연구소 - 조병승 E7.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 김승일 E8. Caffe를 이용한 객체 분류 - 정찬희 E9. 딥러닝을 활용한 예술작품 제작 - 신성진
윗자리에 있는 사람은 고독한 법, 전략적 사고에 뛰어나며 매우 극소수인 건축가형 사람은 이를 누구보다 뼈저리게 이해합니다. 전체 인구의 2%에 해당하는 이들은 유독 여성에게서는 더욱 찾아보기 힘든 유형으로, 인구의 단 0.8%를 차지합니다. 체스를 두는 듯한 정확하고 계산된 움직임과 풍부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 이들은 그들과 견줄 만한 비슷한 부류의 사람을 찾는 데 종종 어려움을 겪습니다. 건축가형 사람은 상상력이 풍부하면서도 결단력이 있으며, 야망이 있지만 대외적으로 표현하지 않으며, 놀랄 만큼 호기심이 많지만 쓸데없는 데 에너지를 낭비하는 법이 없습니다.
올곧은 태도로 계획 달성을 향한 돌진
이들의 지식을 향한 갈증은 어릴 적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때문에 건축가형 사람은 어릴 때 '책벌레'라는 소리를 자주 듣습니다. 대개 친구들 사이에서는 놀림의 표현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개의치 않아 하며, 오히려 깊고 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그들 자신에게 남다른 자부심을 느낍니다. 이들은 또한 관심 있는 특정 분야에 대한 그들의 방대한 지식을 다른 이들과 공유하고 싶어 하기도 합니다. 반면, 일명 가십거리와 같이 별 볼 일 없는 주제에 대한 잡담거리보다는 그들 나름의 분야에서 용의주도하게 전략을 세우거나 이를 실행해 옮기는 일을 선호합니다.
당신은 의견을 가질 권리가 없습니다. 다만 제대로 된 의견을 가질 권리만 있을 뿐이죠. 그 누구도 무식할 권리는 없기 때문입니다.
HARLAN ELLISON
대부분 사람 누가 봐도 이들은 지극히 모순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를 객관적이고 이성적으로 놓고 보면 사실 이해가 가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이들은 비현실적일 만큼 이상주의자이자인 동시에 매우 신랄한 조롱과 비판을 일삼는 냉소주의자로 이 둘이 같이 공존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 보입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지혜와 노력, 그리고 신중함만 있으며 못할 것이 없다고 믿는 한편, 사람들이 실질적으로 그러한 성취를 끌어내는 데 있어서는 게으르고 근시안적이며 자기 잇속만 차린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이러한 냉소적인 태도가 성취하고자 하는 이들의 욕구를 꺾지는 못합니다.
돌부처와 같은 원칙주의자
확신에 찬 자신감과 함부로 범접할 수 없는 신비로운 아우라를 발산하는 건축가형 사람은 통찰력과 관찰력, 기발한 아이디어, 그리고 뛰어난 논리력에 강한 의지와 인격이 합쳐져 변화를 이끄는 데 앞장섭니다. 이따금 이들이 생각했던 아이디어나 계획을 뒤집고 재수립하는 과정을 거쳐 완벽함을 추구하고자 하거나 도덕적 잣대에 따라 재정비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합니다. 건축가형 사람의 업무 스타일을 좇아오지 못하거나 심지어는 이들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전혀 감을 잡지 못하는 사람은 단번에 신임을 잃거나 이들의 인정을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건축가형 사람이 몸서리치게 싫어하는 것이 있다면 바로 질서, 한계, 그리고 전통과 같은 것들인데, 이들은 세상의 모든 것을 탐구와 발견의 대상으로 여기기 때문입니다. 만일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찾은 경우, 간혹 무모할 수 있으나 기술적으로 뛰어나며 언제나 그렇듯 비정통적인 기발한 방법이나 아이디어를 수립하기 위해 홀로 행동에 옮깁니다.
그렇다고 이들이 충동적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얼마나 간절히 성취하기를 원하는지 상관없이 건축가형 사람은 기본적으로 이성적인 사고를 합니다. 내부에서 비롯되었든 아니면 외부 세계에서 기인하였든지, 매사 이들의 아이디어는 “실현 가능할까?”와 같은 ‘이성적 사고’라는 필터의 과정을 거칩니다. 이는 사람 혹은 아이디어에 항시 적용되는 기제로, 이 때문에 건축가형 사람은 종종 곤경에 빠지기도 합니다.
홀로 떠나는 여행, 깨달음의 시간
오랜 시간 방대한 지식을 쌓아 온 똑똑하고 자신감 넘치는 이들이지만, 인간관계만큼은 이들이 자신 있어 하는 분야가 아닙니다. 진리나 깊이 있는 지식을 좇는 이들에게 선의의 거짓말이나 가벼운 잡담은 그저 낯설기만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필요 이상으로 내몰아 부조리투성이인 사회적 관습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가장 좋은 것은 이들이 그들 자신 자체로 온전히 있을 수 있는 곳, 즉 스포트라이트 밖에 있는 것입니다. 건축가형 사람은 익숙하고 편안한 곳에서 본연의 모습으로 있을 때 비로소 연인 관계나 그 외 여러 상황에서 그들 나름의 빛을 발하며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때문입니다.
건축가형 사람의 성향을 정의하자면 이들은 인생을 마치 체스를 두듯이 새로운 계획이나 전술, 그리고 대책을 세워가며 상대방 머리 위에서 수를 두며 허를 찌르는 기술로 상황을 유리하게 몰고 가는 듯한 삶을 살아갑니다. 그렇다고 이들이 양심 없는 삶을 살아간다는 말은 아닙니다. 다만 감정에 치우치는 것을 싫어하는 이들의 성격상 타인의 눈에 그렇게 비추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하면 왜 많은 허구 속 등장인물들(종종 오해를 받곤 하는 영화 속 영웅들)이 본 성격 유형으로 묘사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